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 포착되었기 때문이에요 .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 시설을 공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이 크게 반응하고 있어요 .
지금 유가 가격이 7% 정도나 뛰었고, 한때는 10%까지 오르기도 했어요 . 그래서 75불 선까지 올라와 있는 상태이죠 . 미국의 선물 지수도 영향을 받아서 1.5% 정도 하락했답니다 . 이런 상황 때문에 시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요.
갑자기 왜 이렇게 난리일까요? 무슨 일이 일어난 거죠?
이스라엘 총리 네탄야후는 이번 작전명을 '라이징 라인'이라고 밝혔어요 . 이는 이스라엘을 위협하는 이란을 대상으로 한 표적 군사 작전이라고 설명했죠 . 하지만 이란 작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.
위협을 완전히 제거하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기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죠 . 유가가 계속 오르게 되면 미국 경제에도 약간의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.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원유 공급에 대한 위험이 높아졌다는 점이랍니다 .
호르무즈 해협이 왜 중요할까요? 봉쇄되면 어떻게 되나요?
이란의 보복 가능성 때문에 중요한 수로가 위험해졌어요 . 바로 호르무즈 해협이에요 . 이 해협은 전 세계 해상 원유의 20%가 통과하는 곳이거든요 .
만약 이 해협이 봉쇄된다면 어떻게 될까요? 원유 가격이 엄청나게 뛸 것이에요 . 이렇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지고,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금리를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답니다 . 시장은 지금까지 이런 지정학적 위험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왔지만, 이제는 실질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때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어요 .
이번 사태, 예전과는 뭐가 다를까요?
지금까지 이스라엘과 이란의 관계에서는 이란이 미사일을 몇 발 쏘는 정도에서 끝났어요 . 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답니다 . 이스라엘이 이란의 영토를 공격했다는 점이 중요해요 .
특히 핵 관련 인프라를 타격했다면, 이건 지정학적으로 루비콘강을 건넌 것과 같다고 말하고 있어요 . 더 이상 단순한 보복적인 연극이 아니라는 거죠 .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강대국 간의 직접적인 군사 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. 에너지 거래자, 리스크 관리자, 중앙은행 총재 모두 경계해야 할 때라고 합니다 . 거시적인 체계 전환이 될 수도 있다고 해요 .
석유 말고 또 중요한 게 있다고요? 그게 뭘까요?
현재 에너지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은 석유가 아니라고 말하는 전문가도 있어요 . 석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거죠 . 바로 지중해 동부에 있는 해상 천연가스전이랍니다 .
특히 쉐브론이라는 회사가 이 가스전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어요 . 이런 천연가스전이 석유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답니다 .
천연가스전이 유럽 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?
이스라엘과 이란의 전면전이 일어난다면, 동지중해 천연가스전이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어요 . 이는 유럽의 액화 천연가스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답니다 . 이스라엘의 두 주요 해상 천연가스전도 쉐브론이 일부 소유하고 있죠 .
이 가스전들은 이스라엘 천연가스 생산량의 40% 이상을 담당하고 있어요 . 이곳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이스라엘 시장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이집트와 요르단으로도 수출되고 있답니다 . 특히 이집트는 이스라엘산 가스를 받아서 유럽으로 수출하기도 해요 . 과거 하마스 공격 이후 타마르 가스 생산이 중단되면서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했던 사례가 있어요 . 이번 사태로도 이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거죠 .
S&P 500 지수는 어떻게 될까요? 주식, 지금 팔아야 할까요?
전쟁이 터지면 S&P 500 지수는 초기에는 불안정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요 .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일시적으로 급락하는 경우가 있죠 .
하지만 회복이나 반등의 가능성도 있답니다 . 전쟁이 끝나거나 상황이 안정되면 경제 활동이 재개되고 여러 요인이 작용해서 S&P 500이 점차 회복세를 보일 수 있어요 . 장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커질 수 있지만 , 전문가들은 빠질 때 매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어요 . 매도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죠 .
유가 차트를 보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있을까요?
현재 유가는 74.15불을 기록하고 있고, 75불을 돌파하기도 했어요 . 여기서 중요한 가격대는 80불 라인이에요 .
만약 80불을 강하게 돌파한다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고 해요 . 그럴 때는 금리 인하는 상당히 멀어졌다고 볼 수 있고 , 너무 많이 오르면 금리 인상까지도 고려해야 할 수 있다고 하네요 . 80불 돌파 여부를 지켜봐야 할 중요한 지점이죠 . 전면전이 벌어진다면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고, 그때는 위험 관리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.
안전 자산인 골드는 왜 오를까요?
지금 골드 가격도 상승하고 있어요 . 1.26% 상승해서 직전 고점 근처까지 다가가고 있답니다 . 이는 현재 시장에 불확실성이 상당히 팽배해 있다는 것을 보여줘요 .
골드 같은 안전 자산이 오르면 당연히 위험 자산인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요 . 이런 상황이 지금 시장에 나타나고 있답니다 .
다른 선물 지수들은 어떤가요? 다우, 나스닥, 러셀 2000은요?
S&P 500 선물 지수는 1.49% 하락해서 6천 선을 깨고 내려갔어요 . 전문가들은 직전 고점 부담이 있다고 말했죠 . 5,800선만 깨지 않는다면 박스권 안에서 움직이다가 반등할 수 있지만, 강하게 깨면 하락세가 더 깊어질 수 있다고 해요 . 내려올 때는 매수의 관점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죠 . 지금도 그런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.
다우 선물 지수도 1.40% 하락해서 42,388을 기록하고 있어요 . 다우도 박스권이 될 가능성이 높고, 고점을 돌파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해요 . 유가와 전쟁 때문에 조금 더 내려오고 있지만, 하락한다면 매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합니다 . 외부 변수에 의한 하락은 시간이 지나면 다시 반등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. 공포에 떨지 말고 공포일 때 사야 상승이 가능하다고 하죠 .
나스닥도 마찬가지로 직전 고점까지 와서 조금 내려가는 중이에요 . 2만 선이 지켜지는지 보고, 반등하면서 내려온다면 매수 관점으로 봐야 할 때라고 합니다 . 공포에 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죠 .
러셀 2000 지수는 2.43% 하락해서 2천 선을 기록하고 있어요 . 중소형주는 금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유가가 뛰면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, 그래서 더 많이 내려오는 경향이 있답니다 . 이럴 때는 중소형주보다는 우량주 중심으로 투자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조언하고 있어요 .
지금 투자하기 좋은 시점일까요? 공포 지수는 뭘 말해줄까요?
지금 시장 상황을 판단하는 데 공포 및 탐욕 지수를 활용해볼 수 있어요 . 이 지수가 탐욕 구간(61 이상)에 있을 때는 주식을 적극적으로 할 때가 아니라고 합니다 .
사람들이 상당히 공포에 떨 때, 즉 지수가 50 미만(21이나 30)으로 갔을 때가 조금씩 분할 매수할 때라고 해요 . 공포일 때 적극적으로 들어가고, 탐욕일 때는 부분 익절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. 지금은 공포에 잡히지 말고, 공포가 있을 때 적극적으로 들어가야 할 때라고 말하고 있습니다.
'미국 주식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월 14일 미국 주식 공부하기 이란- 이스라엘 전쟁... 내 투자 전략은? (10) | 2025.06.14 |
---|---|
6월 14일 미국주식공부 시나리오별 대처방법을 알아보자. (0) | 2025.06.14 |
6월 13일 긴급 미국 주식 시황분석 (3) | 2025.06.13 |
6월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, 우리 투자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? (1) | 2025.06.13 |
6월12일 미국 주식공부하기 테슬라 투자 전략 분석: 장기적 관점과 단기적 변동성 대응 (1) | 2025.06.12 |